POD로 부크크에서 책 낼 때 주의해야 할 점
- 리퍼블릭 편집부
- 4월 21일
- 2분 분량

POD(Print On Demand) 방식으로 부크크에서 책을 출간할 때는, 일반적인 자가출판보다 훨씬 간편하지만, 그만큼 저자가 챙겨야 할 부분도 많습니다. 특히 부크크는 대표적인 국내 POD 출판 플랫폼 중 하나로, 제작과 유통의 문턱은 낮지만, 책의 완성도와 판매 전략까지는 온전히 저자 몫입니다. 아래에 단계별로 주의해야 할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 드릴게요.
✅ 1. 출간 목적과 타깃 명확히 하기
왜 책을 내는가?
→ 포트폴리오, 브랜딩, 수익, 기념 출간 등 목적을 분명히 해야 나중에 후회하지 않아요.
누가 읽을 책인가?
→ 너무 대중적이거나 모호하면 판매도 어렵고 반응도 적습니다. Niche 타깃을 노리는 게 효과적입니다.
✅ 2. 편집과 디자인 품질 직접 챙기기
부크크는 최소한의 표지 편집기와 내지 포맷 가이드를 제공하지만, 책의 완성도는 저자에게 달려 있습니다.
▶ 내지 편집
줄간격, 글자 크기, 여백 설정 꼼꼼히 보기
→ 부크크는 A5, 국판, 사륙판 등 크기를 제공하므로, 포맷 맞춰야 합니다.
페이지 나눔과 문단 정리 필수
→ 자동 변환에서 깨지는 경우 많으므로 PDF 업로드 전에 인디자인, 워드 등으로 최종 교정하세요.
오탈자 교정은 직접 하거나 교정 전문가에게 의뢰하기
▶ 표지 디자인
기본 템플릿은 제한적이며 다소 단조로울 수 있음
→ 전문 디자이너에게 의뢰하거나 캔바, 포토샵 등으로 별도 제작해서 PDF로 업로드하기를 추천
책등 두께 계산은 페이지 수와 종이 종류에 따라 다름
→ 자동 계산 툴 제공하지만 수동 조정이 필요할 수도 있으므로 꼼꼼히 확인
✅ 3. ISBN 신청 여부 결정
국립중앙도서관에 ISBN 신청 가능 (무료)
→ ISBN을 신청하면 유통 채널 등록과 검색에 유리합니다.
부크크에서도 ISBN 대행 가능 (유료 1만원)
→ ISBN이 있으면 온라인서점 유통도 가능하지만, 수익 배분률이 낮아집니다.
✅ 4. 유통 구조 파악과 수익 계산
부크크 자체몰 판매 vs 외부 유통 판매 구분하기
유통처 | 수익 구조 | 특징 |
부크크 자체몰 | 저자 수익률 약 50~65% | 수익률 좋지만 트래픽 낮음 |
YES24, 알라딘 등 외부 유통 | 저자 수익률 약 30~35% | 노출은 되지만 수익 적음 |
전자책 유통 (옵션) | 유통사에 따라 다름 | 부크크 통해 교보문고, 리디북스 등 등록 가능 |
👉 유통에 따라 인세가 달라지니 목표에 맞게 전략 선택 필요
✅ 5. 가격 전략과 인쇄비 구조 이해
부크크는 책의 페이지 수 + 판형 + 컬러 여부에 따라 단가가 달라집니다.
부크크 공식 단가 계산기: https://www.bookk.co.kr/book-price
예시:
200p 내외의 흑백 A5 책은 1권 인쇄비 약 3,000~4,500원 수준
판매가를 10,000원으로 설정할 경우 외부 유통에서는 저자 수익이 3,000원이 안 될 수 있음
✅ 6. 부크크 제작/심사 일정 고려하기
PDF 업로드 후 약 2~3일 내 심사
승인 후 바로 주문 제작 가능 (자체몰 기준)
ISBN 유통까지는 약 2~3주 소요
👉 타이밍이 중요한 이벤트용 책이라면 적어도 한 달 전에 제작 시작 필요
✅ 7. 부크크 POD의 한계 인지하기
1부 단위 인쇄라 단가가 비쌈 → 대량 인쇄로는 부적합
교보문고 오프라인 서점 등 서점 입점 불가
출판 마케팅, 서평, 기사 등 일체 지원 없음
부크크 출간 도서임을 명시해야 하므로 '출판사명'을 따로 브랜딩하기 어려움
✅ 8. 출판사명/저작권/계약 이슈
ISBN을 본인 이름이나 상호명으로 신청하면 저작권도 본인 소유
부크크는 출판대행이므로 계약상 저작권 분쟁은 거의 없음
추후 정식 출판사와 계약 시에도 불이익 없음
✅ 9. 후속 전략 세팅
책만 내고 끝나면 아무도 모릅니다.
블로그, 브런치, 유튜브, 뉴스레터 등으로 콘텐츠 연동 권장
POD로 낸 책을 리뉴얼해서 정식 출판 계약 유도하는 방식도 가능
📌 TIP: 부크크 책 성공 사례 3가지 유형
브랜딩용 책: 강사, 전문가가 본인 홍보용으로 낸 책 (예: 직장인 에세이, 교육서)
타깃 소셜 콘텐츠 연계: 블로그/브런치 연재 후 책으로 연결
팬덤 대상 기획물: 팬북, 회고록, 소설집 등 소수 마니아층 대상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