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획출판, 반기획출판 대필작가한테 부탁하는 경우

  • 작성자 사진: 리퍼블릭 편집부
    리퍼블릭 편집부
  • 2023년 10월 6일
  • 2분 분량

안녕하세요. 기획출판을 전문으로 하는 전문 작가입니다. 오늘은 기획출판과 반기획출판이라고 하는 개념의 특징과, 이때 많은 예비저자님들께서 대필작가에게 부탁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획출판의 특징, 장점과 단점

우선 기획출판은 흔히 말하는 '투고'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저자가 쓴 글을 출판사에서 비용 부담을 하고 출간을 하되, 그에 따른 인세를 저자와 나누는 방식입니다. 기획출판 방식은 여러 출판사의 문을 두드려서 출간 가능성을 타진하는 과정이 동반됩니다. 어떤 분들은 수많은 출판사 에디터들에게 메일을 보내고 답장을 한 군데에서도 못 받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 경우는 당연히 콘텐츠로서의 가치가 부족한 경우겠죠. 출판사들도 엄연히 사업체인 만큼, 해당 콘텐츠가 대상 독자층이 분명하고, 유의미한 시장 수요가 있어야만 소량 출판이라도 진행하는 편입니다.

하지만, 첫 책을 내는 저자가 콘텐츠 가치가 높은 원고를 집필할 가능성은 사실상, 거의 없다고 보는 것이 현실적입니다. 이는 작가가 그 원고를 잘 썼다, 못 썼다의 개념이 아닙니다. 잘 쓴 원고라도 상업성이 전무할 수 있고, 그렇다고 해도 그 글이 가치가 없다고 말할 수는 없겠죠. 다만, 투고의 형태로는 이런 유의 원고를 책으로 내기는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만약, 출간이 확정된다면 내 돈을 들이지 않고 기획출판으로 책을 내고 인세도 받을 수 있으니 장점이고, 단점은 확률이 낮다는 것.

반기획출판을 하는 이유

그래서 일정 부분 기획 및 편집비를 내거나 제작비 전체를 부담하는 반기획출판이나 자비출판의 개념이 성립합니다. 물론, 이렇게 하면 출판 가능성은 100%이죠. 어떻든 출판사 입장에서도 제작비의 일부 부담을 덜고, 출간 시 판매 수익으로 보전할 길이 생기니까요. 하지만, 요즘 책은 내기만 한다고 해서 팔리는 건 아닙니다. 내가 쓴 원고가 아무리 좋아도, 잘 팔리는 원고로 다듬어줄 대필작가가 필요한 이유가 여기서 생깁니다. 내 돈을 지불하고 출판하는 반기획출판의 경우 말이지요.

그러면 이후의 출판 방향은 두 가지입니다. 반기획출판 과정에서 출판사에서 붙여주는 대필작가를 통해 원고를 다듬거나, 혹은 외부의 전문 대필작가를 섭외해서 원고를 먼저 다듬고 그 다음 반기획출판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반기획출판의 장점은 내 돈을 일부 들여서 출판 가능성을 100% 만든다는 것이지만, 단점은 대필작가 없이 진행 시에는 오히려 돈은 돈대로 들어가고 결과가 신통치 않은 위험 부담이 있다는 것이죠.

그래서 역량 있는 대필작가와 원고 편집 경험이 풍부한 작가를 만나는 것은, 반기획출판을 하는 작가의 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이런 작가들을 만나는 건은 '인연'이 닿아야 합니다. 작가란 직업군의 특징이 채용포털사이트나 온라인 검색으로 쉽게 찾을 수 있는 영역이 아니거든요. 물론 현직으로 활동하시는 대필작가분들이 꽤 많긴 하지만, 이 중에서도 내 원고의 성격과 집필 방향을 캐치해서 디렉팅해줄 수 있는 대필작가를 만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함께 읽어보면 도움이 되는 글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