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대필 출간 시 합리적 인세는 얼마?

  • 작성자 사진: 리퍼블릭 편집부
    리퍼블릭 편집부
  • 2021년 11월 23일
  • 2분 분량



안녕하세요. 자서전 대필 전문 리퍼블릭입니다. 오늘은 자서전 대필을 통해 출간까지 갈 경우 인세를 어느 정도로 책정해서 받아야 하는지에 대해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 많은 분들이 자서전 대필로 출간을 하시게 되면, 이른바 자비 출판의 개념으로 생각하십니다. 이 경우는, "내돈내산" 그러니까 제작비를 전부 내가 대기 때문에 인세를 내가 더 많이 가져가는 구조가 되죠. 보통의 경우, 자비출판으로 자서전 출간 시 인세를 20~40% 구간으로 책정하는 곳이 대부분입니다. 50%를 주겠다고 하는 업체도 있지만, 서점 수수료가 40% 이므로 이 경우는 업체 타산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불가능한 인세율이 되죠. 자비 출판을 해서 책이 "대박"나면 인세 40%를 받을 수 있다면, 이 또한 나쁘지 않은 옵션을 듯합니다 . 하지만 여기서 단점은 자비출판 시 책이 얼마나 팔리느냐, 하는 것입니다. 자서전 출판을 하려는 많은 분들이 책의 내용보다는 "출간" 자체에 의미를 두고 일단 책이 나오면 책이 많이 팔릴 거라고 쉽게 짐작하시는 경우가 많은데요.


냉정하게 말하자면 첫 책을 내는 저자인 경우, 아무리 잘 쓴 원고라고 해도 첫 책이 2000부 이상 팔릴 확률은 10%도 안 된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1년에 2000부가 팔리는 책은 그 책이 포지셔닝한 카테고리(경제경영, 인문사회, 교양일반 등)에서 유의미한 독자층을 확보했다는 뜻이 되는데, 이 경우에도 정확하게 시장성을 포지셔닝한 원고와 기획출판의 경우에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단순히 요즘 자기계발서가 잘 팔리니까 내가 책을 쓰면 적어도 몇 천권은 팔겠다, 라는 막연한 생각으로 책을 내면 실망하게 될 확률이 높죠. 이 때문에 반기획출판이라는 것을 하는 것이고, 이때에는 원고를 대필해줄 작가가 붙어서 초고를 상품성 있게 바꿔주고 인세를 조율하는 방식으로 가는 게 일반적입니다.

인세가 10%밖에 안 된다고 해도 책이 1000권 팔리는 게 인세 50%에 책이 100권도 안 팔리는 것보단 나으니까요.



자비출판이든 반기획출판이든, 자서전 대필을 통해 책을 내려는 분께 가장 필요한 점은 "내 원고를 객관화시켜서" 볼 줄 아는 능력인데요. 말은 쉽지만 출판 경험이 많은 전문가가 아닌 이상 내 글이 출판 가치가 어느 정도인지 판단하는 건 쉬운 문제가 아니긴 합니다. 그래서 저희는 원고 투고를 받거나 반기획출판을 할 때는 이러한 점을 먼저 설명드리고 원고를 검토하는데요. 대부분 상담 초기에는 초고를 고수하시지만, 상담을 받고 난 이후에는 "다시 써야겠네요" 라는 결론을 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책의 생명은 콘텐츠에 있는 만큼, 멋진 디자인과 그럴 듯한 판형으로 책을 만들어도, 결국 콘텐츠로 독자의 마음을 사로잡지 못하면 무용지물인 셈인데요. 그래서 자서전 대필 시 전문작가의 도움은 반드시 받는 것이 좋습니다. 책을 만들어도 언제 내야 가장 잘 팔리는지, 또 타깃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마케팅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등은 혼자서 결정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죠. 이와 관련한 자서전 대필 관련 상담은 프로필 란의 전화로 편하게 문의주시면 도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자서전대필,#자서전대필작가


コメント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