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필작가 구할 때 학력보다는 OO를 봐라
- 리퍼블릭 편집부
- 2023년 11월 24일
- 1분 분량
안녕하세요. 대필작가 케이입니다. 요즘은 많은 경우 대필작가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어떤 분은 에세이 대필, 어떤 분은 자서전출간, 또 어떤 분들은 기사 작성 등의 이유로 대필작가를 찾습니다. 생각보다 대한민국에는 많은 작가들이 있고 저마다의 강점과 주특기로 대필이 필요한 분들의 어려움을 해결해드리고 있죠. 그렇기 때문에 대필작가라도 모두 똑같지가 않아요. 그래서 오늘은 대필작가 구하는 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대필작가의 종류
대필작가는 크게 기사대필, 책대필의 영역으로 나뉩니다. 탄원서나 공적조서 등의 문서쪽도 있지만 여기서는 논외로 하겠습니다. 기사대필은 말 그대로 미디어(사보, 뉴스, 백서) 등 홍보물을 대필하는 영역입니다. 이쪽에만 특화된 경력작가들이 꽤 많으시고요. 주로 기자 출신 작가분들이 이쪽에서 활동하고 계십니다. 기사대필은 주로 육하원칙에 맞게 정돈된 글을 쓰며, 더욱이 취재라는 행위를 통해서 글을 써나가는 작업인 만큼, 기자 경력을 가진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큰 차이가 있습니다. 기업홍보물의 영역은 사보나 사사, 백서 등의 영역과 PR뉴스의 원고 영역도 있습니다만 취재를 토대로 원고를 구성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입니다.

두 번째, 책대필은 주로 출간 목적인 도서 단행본의
책대필을 하는 경우입니다.
자서전과 기획출판 원고가
주로 여기에 해당합니다. 책대필의 경우, 주로 출판사
경력이 우선시됩니다. 아무리 필력이 좋은 대필작가도,
출판사에서 편집을 해본 경험이 없다면 단행본 원고를
잘 쓰기 어렵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홍보기사 등만 집필한 기자들의 경우
구성과 기획에서 단행본 출판 원고를 어려워하는 경향이
있어요. 이건 글을 잘 쓰고 못쓰고의 문제가 아니라
단지 '코드'가 맞지 않는 것이죠.
단행본 원고를 오래 쓴 대필작가는 반대로 홍보성
기사를 잘 써내지 못하곤 합니다. ^^
대필작가를 구할 때는 구하려는 글의 특성에
맞게 그 분야에 특화된 경험을 가진 대필작가를
구하는 게 중요합니다. 간혹 학력만 가지고 작가의
필력이나 역량을 예측하곤 하지만, 대필작가는
철저히 현장 경험 중심의 내공이 얼만큼 쌓였는지가
결과물에 차이를 만든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어요!
*함께 읽어보면 도움이 되는 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