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서 취재나 집필을 하는 전문가가 따로 있을까?
- 리퍼블릭 편집부
- 2월 20일
- 2분 분량

백서 취재와 집필을 담당하는 전문가들은 보통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다.
1. 백서 취재 및 집필 전문가 유형
전문 기자: 경제, 기술, 정책 관련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기자 출신. 인터뷰와 자료 조사에 능숙함.
출판 작가 및 편찬 작가: 사사, 백서, 보고서 등을 전문으로 집필하는 작가들.
정책 및 연구 전문가: 정부기관, 연구소, 컨설팅 업체에서 활동하는 전문가. 정책, 산업 동향을 분석하고 집필할 수 있음.
홍보·PR 전문가: 기업 및 공공기관 홍보팀 출신으로, 정책 및 기관 성과를 정리해 백서로 제작할 수 있는 인력.
기획 및 콘텐츠 전문가: 공공기관, 협회, 기업의 백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외부 전문가와 협업하여 집필하는 전문가.
2. 백서 취재 및 집필 전문가를 찾는 방법
출판사 및 편집·기획 대행사 활용
공공기관 및 기업 백서를 전문으로 제작하는 출판사, 기획사, 편집 대행사를 통해 전문가를 연결받을 수 있음.
예: 정책연구 출판사, 학술출판사, 백서 전문 제작사
관련 키워드로 검색: “백서 제작 대행”, “공공기관 사례집 제작”, “기업 백서 기획”
전문 집필 작가 및 프리랜서 플랫폼 활용
백서, 정책보고서, 기업 사례집 등을 집필한 경험이 있는 프리랜서 작가를 찾을 수 있음.
활용할 수 있는 사이트:
리퍼블릭미디어(https://www.r2publik.com) 백서집필 전문가들의 협동조합
크몽(kmong.com) / 숨고(soomgo.com): 기획 및 취재 작가 섭외 가능
브런치(Brunch) / 퍼블리(Publy): 해당 분야에 글을 기고하는 전문가에게 직접 연락
랜서스(Lancers, 일본) / 업워크(Upwork, 해외): 해외 전문가 섭외 가능
저널리스트 및 연구자 네트워크 활용
전문적인 취재 및 집필이 필요한 경우, 기자협회, 정책 연구소, 대학 연구팀과 협업 가능
예: “기술 백서 기자”, “산업 보고서 연구자” 등의 키워드로 전문가 검색
공공기관 및 기업의 기존 백서 분석 후 작가 확인
해당 기관이 과거 발간한 백서의 편찬진, 집필진, 기획사 정보를 확인하고 접촉 가능
공공기관 홈페이지 및 국가기록원에서 과거 백서 다운로드 후 저자 정보 확인
링크드인(LinkedIn) 및 네트워크 활용
“백서 집필”, “산업 보고서 작성”, “정책 리포트” 등을 키워드로 검색하면 관련 전문가 리스트 확인 가능
기자, 컨설턴트, 연구원 등과 직접 연결 후 협업 가능
관련 학회 및 협회 문의
산업별 백서를 작성할 경우, 해당 분야의 학회나 협회에서 전문가를 추천받을 수 있음
예: 한국정책학회, 산업기술진흥협회,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3. 전문가 섭외 시 검토할 사항
✅ 포트폴리오 확인: 백서, 사례집, 정책 보고서 등의 이전 작업물 확인
✅ 업계 이해도: 해당 분야(예: IT, 금융, 정책 등)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는지 확인
✅ 인터뷰 및 자료 분석 능력: 취재 및 데이터 리서치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지
✅ 작업 기간과 예산: 프로젝트 규모에 맞는 견적을 제공하는지
✅ 기획력 및 협업 능력: 단순 집필뿐만 아니라, 자료 구성과 기획이 가능한지
백서를 취재·집필하는 전문가를 찾으려면, 프로젝트 성격에 맞게 기자, 연구원, 편찬 작가, 기획사 등의 채널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