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백서집필 취재 기획 모두 가능한 곳

  • 작성자 사진: 리퍼블릭 편집부
    리퍼블릭 편집부
  • 2024년 3월 22일
  • 2분 분량

단발성 백서제작을 해야 하는 경우 가장 어려운 부분이

바로 작가 섭외입니다. 백서작가들이 대부분 프로젝트성 단위로

일을 하기 때문에 급한 건의 경우 정작 필요한 백서집필 작가는 다른

일을 하고 있는 케이스가 많죠. 요즘은 백서제작의 납기가 점점

짧아지는 추세로 특히 유찰된 건을 진행하는 백서제작 업체의

경우 짧은 시간 내에게 백서집필 취재 기획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백서제작 계약 따기는 했는데 남는 게 없다?

물론 내부에 백서집필 작가와 기획자를 보유한

대O기획, 경O문화사 등의 에이전시 얘기가 아니죠.

그보다 규모는 작고 내실 있게 백서, 사보디자인을 하는

디자인 회사나 PR회사, 혹은 기업홍보물 에이전시를

하는 업체들의 이야기입니다. 입찰을 해서 딸 때는 기분이

좋긴 하지만 예산 배분을 생각하면 자칫 아웃소싱을 잘못하면

백서제작비로 대부분의 예산을 써버리고 정작 '남는 게(?)'

없어지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요즘은 백서집필 기획 취재가 한 번에 가능한

집필 콘텐츠 기업에 의뢰하는 편이고, 이 경우 가성비가

가장 좋습니다.

(물론 이 경우에도 클라이언트와 소통할 내부 PM은

있어야겠지만요^^) 경험이 있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백서제작비 중에서 백서집필 취재가 전체 예산의 35%

가량을 차지합니다. 그만큼 중요한 포지션이기도 하지만

이 말을 바꾸면 가장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백서집필자, 백서기획자, 백서취재작가를 각각 따로

구하려면 비용이 많이 들어요.

만약 위 프로세스 중에서

백서취재 부분만 필요하신 경우라면, 차라리 크몽을 통해서

구하시는 게 낫고 저희 경험상 가성비와 퀄리티가 검증된

곳 알려드립니다.



그 외에 백서취재 집필 기획을 한 번에 하는 곳은

프리랜스 에디터 같은 사이트를 통해서 구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앞서도 말씀드렸듯 개인대 개인 간 거래의

경우 크리에이터 개인의 '컨디션'과 일정에 따라

마감 변수가 생기는 만큼 되도록 백서집필 취재 기획은

B2B로 진행하시는 것이 안전한데요. 이를 턴키로 하는

출판사들도 있으니 검색해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제작 레퍼런스를 반드시 살펴보시고 진행하시는

것이 좋고, 백서집필 자의 경우는 프로젝트 기간이 긴 반면에

생각 외(?) 작가가 마감일을 잘 못맞추는 경우가 많아서

백서집필 작가와의 소통도 매우 중요하다는 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