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책 대필 출판 이런 것도 가능한가요?
- 리퍼블릭 편집부
- 2024년 4월 19일
- 2분 분량
1년 중 출판 시기는 지금이 가장 좋습니다.
책 판매량이 높은 시기이기도 하고
무언가를 브랜딩하기에도 좋은 시기이죠.
경기가 어렵다고는 하지만 자신을 하나의
브랜드로 만들기 위한 "퍼스널브랜딩" 목적으로 출판을
준비하는 분들이 많은 이유입니다.
출판 과정에서 가장 많은 분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글 작업, 요컨대
"대필 작업"입니다.
글 집필은 경험이 없는 초보 작가가
출판 단행본의 시작과 끝을 기획하여 집필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릅니다. 특히 전문분야를 집필하거나
그림이나 장표가 많은 책의 경우는 더더욱 집필에
애를 먹기도 하죠.

첫 책을 대필할 때 주의할 점!
책을 처음 내는 분들에게 중요한 것은
자신이 출판한 책이 서가의 어느 카테고리에 위치해
있느냐입니다. 핵심은 "내가 책을 내고 싶은 것인가"
"아니면 전문가처럼 보이고 싶은 것인가"입니다.
전자인 경우라면 출판 과정 자체에 의미를 두고서
첫 책을 진행해야 합니다. 학술서 내지는 경제경영서를
내려고 했던 분들도 첫 책을 진행하는 난도 때문에
에세이 대필출판으로 방향을 선회합니다.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개념서라고 하더라도
에세이 형태로 쉽게 풀어내면 전문성도 살리면서
내 책을 쉽게 출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에세이 대필출판은 초보 작가가
활용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입니다.
대필이라는 어감을 너무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습니다. 요즘은 기성 작가들 역시 책을 출판할 때
대필작가의 도움을 받는 경우가 흔하니까요.
대필작가라는 호칭보다는 어쩌면, "편집자"라는
타이틀이 어울릴지도 모르겠네요. 기획부터 집필, 윤문
교정까지 도움을 주는 출판전문가를 단순히 에세이대필작가
로 부르기엔 무리가 있죠.
경제경영, 사회과학 등 여러 분야의 책을 대중서로쉽게 풀어낼 때는 에세이대필 출판이 유리합니다.
에세이는 출판 시장에서도 파이가 가장 클 뿐더러
책이 가장 많이 판매되는 카테고리이기도 해서
첫 책을 에세이 분야로 진출해서 정하는 것은 나쁘지
않은 전략입니다.
하지만 에세이 대필출판의 경우도, 기존에 써둔
원고가 있지 않다면 인터뷰 등을 통해서 새롭게
구성하는 방식을 권장해드리는데요!
특히 화자의 메시지가 심겨야 하는 경우라면
인터뷰를 통한 책집필 구성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필작가가 인터뷰 내용으로 전문 개념을
얼마나 쉽게 풀어낼 수 있을지 걱정하는 분들도
있는데요. 대필작가는 어려운 개념을 이해하는 사람이
아니라 어려운 개념을 쉽게 풀어서 글로 써내는 사람입니다. ^^
꼭 저자의 지식과 생각의 폭을 대필작가가 온전히
이해하지 않고 3분의 1만 이해해도 괜찮습니다.
중요한 것은 에세이대필 출판을 선택했을 시,
얼마나 대중적으로 판매가 잘 되는 책으로 출판되느냐
하는 것이니까요!
*함께 읽어보면 도움이 되는 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