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왜 그렇게 자비출판 하라고 하는 걸까, 알고보니..

  • 작성자 사진: 리퍼블릭 편집부
    리퍼블릭 편집부
  • 1월 2일
  • 3분 분량

자비출판을 선택하는 이유

책을 내는 것은 한 개인의 목소리를 세상에 전달하는 강렬한 방식이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기존의 출판사를 통해 이 꿈을 이루기는 어렵다. 자비출판은 이 과정에서 자유로움과 통제력을 제공하며, 특히 다음과 같은 이유로 매력적인 선택지가 된다.




1. 주제의 독창성 출판사가 다루기 꺼려하는 독특하거나 틈새시장에 초점을 맞춘 주제들은 자비출판으로 빛을 발한다. 예를 들어, 50대 직장인이 은퇴 후 새로운 커리어를 시작하는 과정을 다룬 "중년의 두 번째 시작"은 대형 출판사에서 주목받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자비출판으로 세상에 나오며, 비슷한 고민을 가진 독자들로부터 큰 공감을 얻었다.

2. 크리에이티브 컨트롤 표지 디자인, 편집 방향, 제목 선정 등 모든 면에서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점은 자비출판의 가장 큰 매력 중 하나다. 한 주부는 자신의 육아 경험을 기록한 "엄마의 작은 전쟁"을 자비출판으로 냈다. 출판사 제안을 따르지 않고, 자신의 그림을 표지로 사용하며 책에 대한 소유감을 더욱 높였다.

3. 빠른 실행 기존 출판사는 투고에서 출간까지 긴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하지만 자비출판은 원하는 시점에 책을 세상에 내놓을 수 있는 신속성을 보장한다. 한 예로, 청년 창업가가 스타트업 경험을 다룬 "스타트업 생존일기"는 자신의 강연 일정을 맞추기 위해 3개월 만에 책을 완성했다.

4. 수익의 온전한 소유 출판사와 수익을 나누는 대신, 판매된 책의 수익 대부분이 작가에게 돌아간다. 물론 초기 비용이 들긴 하지만, 성공적인 판매로 이를 상쇄할 수 있다. 한 소설가는 판타지 소설을 자비출판으로 출간하고, 커뮤니티와 소셜 미디어를 통해 홍보하여 1만 부 이상 판매를 기록했다.

5. 작가로서의 정체성 확립 자비출판은 초보 작가가 자신의 목소리를 세상에 처음 알리는 데 있어 훌륭한 플랫폼이다. 한 상담 심리사는 자신의 상담 사례를 바탕으로 한 책을 자비출판으로 내며, 이를 통해 강연 기회를 확대하고 독자와의 연결점을 만들었다.

초고가 마음에 들지 않는 이유와 시장성의 부재

책 초고를 읽고 난 후, "이게 정말 내가 원한 이야기인가?"라는 의문이 드는 순간은 작가로서 좌절스럽다. 그러나, 이런 반응은 단순한 미적 불만을 넘어 작품의 시장성과도 깊은 연관이 있다. 이유를 살펴보자.

1. 메시지의 모호함 책의 핵심 메시지가 불분명하다면 독자는 길을 잃는다. 초고가 명확한 주제나 목적 없이 여기저기 흩어진 이야기를 나열한다면, 독자의 관심을 끌기는커녕 피로감을 줄 뿐이다. 예를 들어, 한 작가는 자서전을 집필하면서 자신의 성공담과 좌절담을 혼란스럽게 뒤섞었다. 이를 재정비해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서술하자 독자의 공감을 끌어낼 수 있었다.

2. 독자 타깃의 부재 책은 특정 독자층을 겨냥해야 한다. 그러나 초고에서 누구를 대상으로 썼는지가 모호하다면, 누구의 마음도 사로잡을 수 없다. 한 예로, 자비출판으로 심리학 책을 낸 작가가 초고 단계에서 타깃 독자를 20대 청년으로 좁히자 훨씬 더 명확한 메시지를 담을 수 있었다.

3. 개성의 부족 대중은 새로운 것을 원한다. 그러나 초고가 흔한 스토리텔링 기법이나 클리셰에 기대어 있다면, 독자는 책장에서 손을 뻗지 않을 것이다. 한 예로, 여행 에세이를 쓴 작가가 본인의 독특한 관점과 유머를 추가하면서 경쟁작들과 차별화에 성공했다.

4. 서사 구조의 허술함 책의 구조는 이야기를 전달하는 기본 틀이다. 초고가 논리적 흐름 없이 단편적인 에피소드로만 이어진다면 독자는 쉽게 지루함을 느낄 것이다. 한 작가는 자신의 유학 경험을 다룬 책에서 에피소드를 시간 순서로 재구성하여 훨씬 읽기 편하고 몰입도 높은 작품으로 바꿀 수 있었다.

5. 감정의 결핍 독자들은 책을 통해 감정을 느끼고, 공감하며, 변화를 경험하길 원한다. 초고가 감정적으로 메마르거나, 등장인물과 독자 간의 정서적 연결을 형성하지 못한다면 그 책은 오래도록 기억되지 못할 것이다. 한 소설가는 초고에 등장인물의 감정선을 구체적으로 묘사하면서 독자의 몰입감을 대폭 높였다.

실질적인 해결책

책의 초고를 시장성 있는 작품으로 탈바꿈시키려면 다음의 전략이 필요하다.

1. 핵심 메시지 강화 책의 주제를 한 문장으로 요약해보라. 이 문장을 중심으로 모든 이야기를 재구성하여 초고의 일관성을 확보하라. 예를 들어, 한 작가는 "나의 실패가 나를 성장시켰다"라는 메시지를 중심으로 초고를 재구성하며 더 강렬한 스토리를 만들어냈다.

2. 독자 분석 목표 독자층을 정의하고, 그들의 관심사와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 내용을 초고에 반영하라. 심리학 책을 쓴 작가는 독자의 구체적인 고민 사례를 추가하여 독자 친화적인 내용을 만들었다.

3. 차별화된 요소 추가 당신만이 쓸 수 있는 이야기, 혹은 기존 작품과 다른 독창적 요소를 초고에 주입하라. 한 작가는 자신의 에세이에 여행지에서 겪은 특별한 사건들을 추가하며 차별화에 성공했다.

4. 서사 재구성 기승전결의 흐름을 점검하고, 독자가 흥미를 잃지 않도록 매력적인 서사 구조를 재설계하라. 예를 들어, 자기계발서를 쓴 작가는 중간에 짧은 성공 사례를 삽입해 독자의 몰입도를 유지했다.

5. 감정의 깊이 더하기 독자의 공감을 자아낼 수 있는 감정적인 순간과 진솔한 이야기를 추가하라. 당신의 이야기가 독자의 가슴에 닿는다면 시장성은 자연히 따라온다. 한 작가는 암 투병 경험을 에세이에 녹여내며 독자의 눈물과 공감을 이끌어냈다.

자비출판은 창작자의 자유를 보장하지만, 동시에 시장성을 간과하지 않도록 철저한 자기 점검과 수정이 필요하다. 책은 단순히 '내 이야기'가 아닌, 독자와의 교감을 위한 도구라는 점을 잊지 말자.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