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비출판? 기획출판? 에라 모르겠다...??
- 리퍼블릭 편집부
- 3일 전
- 2분 분량

처음 책을 만들려고 할 때는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신 게 당연해요. 자비출판, 반기획출판은 각각의 방식이 있고, 어떤 길을 택하느냐에 따라 준비해야 할 것도 달라지거든요. 처음 출간을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출판 전 과정을 자비출판 & 반기획출판 기준으로 차근차근 설명드릴게요. 이해하시기 쉽게 단계별로 정리해드릴게요.
✅ 용어부터 정리할게요
🔹 자비출판이란?
저자가 비용을 전액 부담해서 책을 출판하는 방식이에요.
출판사는 책 제작을 돕지만, 기획과 마케팅은 저자 몫인 경우가 많아요.
인세 대신 책 판매 수익 대부분을 저자가 가져갈 수 있음.
🔹 반기획출판이란?
출판사와 저자가 함께 기획하고, 저자가 일정 부분 비용을 부담하는 형태예요.
출판사가 어느 정도 편집, 디자인, 마케팅을 도와주기도 해요.
자비출판보다는 출판사 관여도가 높고, 계약 방식은 다양해요.
📕 전체 출판 준비 단계 (자비 or 반기획 공통)
1단계. 기획
주제 정하기 (무엇을 쓰고 싶은가?)
독자 대상 선정 (누구에게 읽히고 싶은가?)
책의 목적 정리 (기록용, 브랜딩용, 수익용 등)
👉 이 단계에서 방향을 명확히 잡는 게 중요해요. 혼자 정리하시기 어렵다면, 저와 함께 기획안 템플릿을 써보셔도 좋아요.
2단계. 원고 작성
본인이 직접 쓰기 (자기 경험 기반, 에세이, 실용서 등)
혹은 대필 작가와 협업 (인터뷰 기반 대필 가능)
일반적으로 최소 200자 원고지 기준 700~800매 정도면 단행본 분량이 됩니다 (약 150~200페이지).
👉 글쓰기가 막막하면, 인터뷰 기반 초고부터 시작하는 것도 좋아요.
3단계. 편집/교정
오탈자나 문장의 흐름 등을 점검
필요하면 전문 편집자나 윤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윤문비는 보통 50~100만원선에서 형성돼요.
4단계. 디자인
책 표지 + 본문 디자인 필요
표지 디자인은 200만원 정도
POD 출판용이면 A5, B6 사이즈가 대중적이에요
5단계. ISBN 발급 및 납본
ISBN(국제도서번호)은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무료 발급 가능
완성된 책은 국립중앙도서관과 국회도서관에 의무 납본해야 해요
6단계. 인쇄 또는 전자책 제작
종이책: POD(주문형 소량인쇄)가 대중적 (1권당 4~6천원)
전자책: EPUB 파일 제작 (디자인 포함 20~30만원)
7단계. 유통 등록
교보문고, 예스24, 알라딘 등에 유통 가능
직접 유통 등록 가능 or 대행사 통해 진행 (대행비 10~20만원)
POD 출판 플랫폼: 리디셀렉트, 부크크, 퍼블리시스 등
💡 예산은 얼마나 들까요?
항목 | 예상 비용 (자비출판 기준) |
기획 및 원고 작성 | 직접 시 0원, 대필 시 100~300만원 |
편집/윤문 | 50~100만원 |
디자인 | 50~80만원 |
EPUB 변환 또는 인쇄 | 20~30만원 (전자책), 종이책은 인쇄 수량에 따라 |
유통 등록 | 직접 시 0원, 대행 시 10~20만원 |
총합 | 직접 전부 하면 약 100만원 내외, 대필 포함 시 200~400만원 이상 |
🙋 어떤 방식이 저희에게 맞을까요?
혹시…
원고는 대부분 직접 쓰실 계획인지
대필 작가나 출판 전문가의 도움을 받고 싶은지
책을 브랜딩용으로 활용하실 계획인지, 아니면 기록/선물용인지
이 세 가지에 따라 전략이 달라져요. 상황을 조금 더 알려주시면, 맞춤형 조언도 드릴게요!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