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비출판 기획출판 정보의 비대칭 문제
- 리퍼블릭 편집부
- 2023년 5월 26일
- 2분 분량
안녕하세요. 기획출판 전문 리퍼블릭미디어입니다. 오늘은 저희가 상담을 하면서 느꼈던 정보의 비대칭 문제를 다뤄볼까 합니다.
정보의 비대칭?
말 그대로 출판사와 독자가 아는 정보가 서로 다르거나 차이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자비출판이나 기획출판을 준비하실 분들은 꼭 알아야 되는 부분이라서 끝까지 정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먼저 질문입니다. 한 권의 책을 내려고 할 때 그 책의 주인공은 누구일까요? 아마 많은 분들이 '작가'라고 생각하실 겁니다. 실제로 저희 출판사에 출판 의뢰를 위해 상담을 하시는 분들은 "내 글을 출판해주면 인세를 얼마나 줄 수 있느냐"고 묻곤 하니까요. (책 출판에 있어서 주도권이 작가에게 있다는 명확한 인식 때문이죠) 하지만 책의 주인은 '독자'입니다. 자비출판이나 기획출판이나 책의 주인이 독자이기 때문에 이 모든 출판 과정이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자기 만족을 위해 내는 책이라고 해도, 읽어줄 독자가 오로지 자기 자신이라면, 아무런 의미가 없으니까요. 하다못해 주변 가족이나 지인에게 나눠주기 위해 출판하는 자비출판이라고 하더라도, 결국 소수의 '독자'가 있기 때문에 출판이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책의 주인이 독자라는 걸 인정한다면 출판을 하려는 작가 또한 한 명의 독자로서 자기 책을 접한다는 사실도 인정해야 합니다. 요컨대 책은 독자에게 반응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하고, 독자가 반응하는 책들(그러니까 서점에서 판매가 이뤄지는 책)이야말로 저자인 스스로도 한 명의 독자로서 만족하는 결과를 만들게 됩니다.

이런 걸 전문용어로 '선순환'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책을 이제 막 내려고 준비하는 작가들은 이 결과를 좀처럼 상상하지 못합니다. 내 원고가 보석 같고, 내 글이 소중하기 때문에 출판사가 나에게 압도적으로 유리한 조건으로 계약 조건을 제시해주길 바랍니다.
하지만, 막상 책을 내보면 알게 되지만 내 책은 단지 책장위에 먼지만 덮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더더욱이 처음 책을 내는 사람이라면, 처녀작이 어엿한 책답게 출판만 되어도 감지덕지, 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원고의 구성과 주제, 문장 구성 등이 출판의 조건에 전혀 맞지 않는 경우가 90%이기 때문입니다. (간혹 완성된 10%의 원고들은 저희도 기획출판 이 아니라 정식으로 출판사에 투고하라고 권고 드립니다. 저희가 손댈 게 거의 없는 경우죠)
자비출판도 반드시 기획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일단 순서는 내 원고가 완성되지 않은 상태이며, 이 원고는 기획과 윤문이 다시 진행되어야 하고, 그걸 통해서 콘텐츠로 다시 진화해야 한다는 점을 겸손하게 인정하는 것입니다. 그걸 인정한 다음 순서가 이 책의 가치와 상품성을 논하는 것이죠. 저희가 하는 기획출판이라는 것도 결국, 이런 기획과 편집을 처음부터 다시 해드리고 결과적으로 책으로 나왔을 때 좋은 결과를 만들어내게끔 도움을 드리는 '컨설팅'에 가까운 일이라고 보시는 게 맞습니다. 이런 정보의 비대칭을 해결하기 위해 저희는 어느 정도 기획출판과 자비출판의 내용에 대해 인지를 하고 상담을 받으시라고 권장을 드리고 있습니다. 출판은 제작의 요소(인쇄, 제본 등)가 있기 때문에 생각하시는 것보다 비용이 많이 드는 과정입니다. 편집디자인, 교정교열, 인쇄, 제본, 유통관리 등의 과정이 있고 각각의 공정은 모두 사람 손으로 하는 것이기에 '자동화'가 안 됩니다. 쉽게 말해, 다 인건비가 투입되는 과정이란 뜻입니다. 단순히 100만원에 책을 만들 생각이라면 POD 형태로 스스로 한글 파일을 출력소에서 제본하는 게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결론은 어쩔 수 없이 예산의 문제로 돌아옵니다. 현재 내가 가진 예산이 100만원 뿐이라면, POD 출판을 하시고 그런 사이트들은 POD출판을 검색하면 아주 많이 나옵니다. 하지만 제대로 된 기획출판, 자비출판을 통해서 서점 마케팅을 정식으로 하고 싶은 거라면 이런 내용을 미리 알고 계셔서 상담을 해보시면 시간과 비용을 합리적으로 쓸 수 있습니다. *함께 읽어보면 도움이 되는 글 https://blog.naver.com/r2publik/223100033589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