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비출판 베스트셀러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 리퍼블릭 편집부
- 1월 6일
- 2분 분량
출판은 기회와 확률 게임이라고 생각합니다.
끝없는 원고 투고, 그리고 출판사 선정까지를
고심하는 것도 우여곡절 그 자체이지만,
이후 서점 유통을 완주하더라도
결과를 알 수 없는 것이
책 출판이죠.
그래서 첫 책을 낸 이후에 수많은 저자들이
두 번째, 세 번째 책을 노크하나봅니다.
그런 의미에서 자비출판은
비용을 써서 이 모든 걸
'일망타진'하려는 분들의 묘수입니다.
솔직히 말해서
기회와 시간(이를 비용으로 환산할 수 있다면)을 아끼면서
저자의 반열에 오를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도 생각합니다.
자비출판에 대해 "돈 주고 책 낸다"고 옆눈으로
볼 일만도 아닙니다.
유명세라는 '트래픽'을 활용해서
책을 내고 베스트셀러에 오르는 많은 작가들의 책이
대부분 출판사 편집자의 책을 통해 '마사지'되기 때문입니다
최근에도 한 저자의 원고를
의뢰받았는데 출판사에서
어떻게 원고 기획을 짜주고
그에 맞게 저자에게 원고를
역으로 쓰라고 하는 지
한 번 더 알게 되었습니다.

한 편집자와의 대화 내용
물론, 자비출판 과정이 자판기처럼 돈만 투입하면 베스트셀러가되는 건 아닙니다.
한 권의 책을 기획하고 여기에 내용을
꾸려서 집필하고,
수많은 수정 끝에 표지와 내지 시안을 잡고
디자인을 수정하는 등등의
다사다난한 과정을 거치는 것은,
자비출판이나 일반출판의 과정이 동일합니다.
특히, 자비출판에서 가장 중요한 점이 디자인입니다.
따라서, 표지 시안을 여러 번
잡게 되는데요. 아래는 최근
저희가 진행 중인 편집 도서의
디자인 시안 편집 과정입니다.

자비출판 도서의 디자인 시안들. 상반된 컨셉을 놓고 비교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물론, 이렇게 제안드리는
과정에서 저자의 의견을 반영해서
균형을 잡는 것도 필요합니다.
자비출판의 본질은 결국 저자가
생각하는 컨셉의 책이 제작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저자와의 대화 중. 시안 확정 과정
자비출판은 일방통행식 주문도 아니고
그렇다고 해서 편집자와 출판사의 입맛에 맞는
원고로 저자를 끝도 없이 쓰게 하는 과정도
아닌 그 중간 지점 어딘가에 균형을 잡고
최대한 상호 간 '윈윈(win-win)'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이를 잘 알고, 이를 잘 활용한다면
일반 투고를 통한 출판보다 작가님의 의도와 목적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
자비출판이 날개가 되어줄 수 있습니다.
Komment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