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자서전대필 이런 경우가 가능할까요?

  • 작성자 사진: 리퍼블릭 편집부
    리퍼블릭 편집부
  • 2023년 11월 3일
  • 2분 분량

안녕하세요. 글쓰기 전문 작가 잭키입니다.

요즘은 책출간이 대중화되다보니 책을 쓰려는

개인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유명하지 않아도, 연예인이 아니어도 일반인도

책을 쓰면 유명해지는 사례가 많죠.

그래서 이런 말이 있는 거겠죠?

'유명해서 책을 쓰는 게 아니라,

책을 쓰니까 유명해지더라...'

하지만 막상 내 힘으로 책을 쓰려고 하면

원고를 처음 써본 분들은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상당히 어렵습니다. 목차 구성을 하는 것도 그렇지만

글의 중심을 잡고 처음부터 한 권 분량의 책을

써나간다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에요.


그래서인지 요즘은

자서전을 대필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문대필 작가가 나를 인터뷰해서 내가

생각하는 메시지를 한 권의 책으로 만들어준다면

큰 도움이 되겠죠? 그런데 이렇게 자서전대필로

책을 쓸 때는 염두에 두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 점에 대해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자서전대필 할 때 주의할 점?


자서전대필로 책을 쓸 때 -카테고리가 뚜렷한가요?

막연히 어떤 책을 봤는데 좋아서 나도 그렇게 쓰고 싶다, 이렇게 접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책도 하나의 상품입니다. 우리가 쿠팡에서 물건을 판매할 때도 어떤 카테고리를 정하고 들어가듯, 책을 낼 때도 경제경영서, 에세이, 자기계발서, 성공학 등의 카테고리를 정하고 들어가야 합니다. 내가 쓰고자 하는 카테고리를 정하는 것이 자서전대필로 책을 내는 첫 번째 단계죠.

자서전대필로 책을 쓸 때 -브랜딩인가요? 정보성인가요?

정보성으로 책을 쓸 것인지 아니면 내 이야기를 중심으로 브랜딩을 목적으로 하는지 이 부분이 명확해야 합니다. 정보성을 쓰는 경우라면 아마도 사업홍보나 저자님이 하시는 일을 자연스럽게 홍보하려는 목적이 크실 거예요. 그렇지 않고, 만약 내 이야기를 재미있게 써서 사람들에게 나를 알리고 싶다, 나라는 사람의 이름 석자가 중요하다! 하시는 분들이라면 브랜딩을 목적 으로 자서전대필을 하시는 케이스라고 볼 수 있죠. 자서전대필 출판은 협.업.이다 원고가 전혀 없어도, 대필작가의 도움으로 책집필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맡길 수 있는 건 맞지만 조심해야 할 부분이 있어요. 내가 원하는 게 무엇인지, 인터뷰를 통해서 명확하게 대필작가에게 전달할 필요가 있어요. 대필작가는 글 전문가이지 내 분야의 전문가가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내 기획의도와 전문분야의 핵심 내용을 작가에게 잘 전달할 필요가 있습니다. 책대필로 책을 만든다는 건 철저하게 협업의 문제입니다. 글은 대필작가가 쓰지만 피드백이나 이런 부분은 저자와 작가의 협업이에요. 저의 경험을 보더라도, 대필작가에게 모든 걸 일임하는 경우와 협업해서 진행하는 경우는 퀄리티가 전혀 다른 결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자서전대필은 단순히 작가를 기용해서 원고를 전부 맡기는 것보다 훨씬 더 유기적인 작업이라고 보시면 되고, 원고 기획부터 편집, 디자인 교정 등 전반의 과정에서 매우 다양한 논의가 오가야 한다는 점 꼭 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 *함께 읽어보면 도움이 되는 글 https://blog.naver.com/r2publik/223231715225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