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자서전집필 혼자서 쓸 엄두가 안 날 때

  • 작성자 사진: 리퍼블릭 편집부
    리퍼블릭 편집부
  • 2024년 10월 30일
  • 2분 분량

무언가를 쓴다는 것은

 누군가에게 막막한 일입니다.

특히 전문직이나 기업 대표님들에게는,

현업의 일이 바쁘다보면 '창작'을 할 시간이 없기도

하죠. 그런데 성공의 상징과 같은 책 출판이 필요하다는

건 지혜로운 대표님들도 잘 알고 계십니다.





요즘처럼 퍼스널브랜딩이 중요한 때에는 영상 매체 외에도 책 출간이 꼭 필요한 분들이 있죠.

한국에는 참 많은 기업이 있다는 걸,

자서전집필 상담을 갈 때마다 느끼는 것 같아요.

어제는 당산역에 있는 한 뷰티 중견기업에

다녀왔습니다. 보통 사람이 알고 있는 업종의

범위란 대개 10종을 넘지 않을 거예요.

외식업, 학원업, 유통업 등등...

그렇지만 시장의 크기만큼이나 그 틈새에는

다양한 파생 업종들이 존재하는 듯합니다.

어제 뵈었던 대표님의 경우,

"미용업 전반의 교육, 프랜차이즈 사업"을

하시는 분이셨어요.

선유도역 주변의 근사한 신축 건물!

혹시 이 건물의 건물주는 아니실지...^^

기다림 끝에 만난 대표님께서는 더블 슈트를

입은 '체어맨(!)'의 모습 그대로이셨습니다.

이미 사업 규모가 상당히 크셨고,

그 과정에서 협업하는 분과 책을 내려고

하는데 자기 파트의 원고를 쓸 시간이 없다고

하시는 거였죠.

강의는 왕성하게 하시지만,

이 강의 콘텐츠를 자서전집필로 풀어내는 건

또 다른 문제 같다는 고민도 풀어주셨습니다.

"역시 세상에는 다 전문가들이 따로 있네요."

자서전집필을 혼자서 하려고 했다면 몇 년이

걸렸을지 모르겠다면서, 두 달 만에 책 한 권을

뚝딱 써내는 자서전집필 작가의 능력(!)을

칭찬해주셨지만 사실, 어떤 일이든 업으로 하게

되고 10년 이상 하게 되면 누구나 달인이 되는 건

당연한 일이죠... ^^ 제가 강의 준비를 하라고 했다면

1시간 강의라도 며칠이 걸리는 것처럼요.


옆에서 제 얘기를 듣던 공동대표님께서는

출판에 관심이 많아 이것저것 질문을 많이 해주셨어요.

저는 자서전집필 과정에서 원고 패턴이 어떻게

달라지고, 작가의 니즈와 성향에 따라서 어떤 과정으로

원고가 편집되는지를 상세히 알려드렸습니다.

보너스(?)로 카테고리 베스트셀러로 등극하는 법도

말씀은 드렸지요.

"저도 자서전집필 부탁드려야겠네요."

결국 공동대표님도 '공동'으로 진행하시로!

자서전집필뿐만 아니라 디자인, 인쇄, 서점유통까지

해달라고 부탁하셨네요.

자서전집필 어려운 것 같아도

 실제로 해보면

더 어렵습니다..

문학적인 글, 예술적인 작품을 만들 게 아니라면

시의성 있는 콘텐츠를 자서전집필로 구성해서

빠르게 출판할 수 있는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방법입니다.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