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책대필 구술 인터뷰가 필요한 경우는

  • 작성자 사진: 리퍼블릭 편집부
    리퍼블릭 편집부
  • 2022년 4월 18일
  • 1분 분량

한 마디로 요약하면 현재 가지고 있는 자료가 없거나 머릿속에 있는 경우입니다. 책대필 구술 인터뷰 없이 "내가 보내주는 메일을 가지고.." 쓰거나 "평소에 메모해둔 것들을 가지고.." 쓰거나 "시중의 책들을 짜깁기 해서.." 쓸 수는 없습니다. 러프한 형태의 초안이 없거나 자료가 아예 없다면, 어쩔 수 없이 책대필 방법 중에서 구술 인터뷰를 진행해야 합니다.



방법은 1.5시간씩 6회차 인터뷰인데 일주일에 두번 이상 하는 걸 권장합니다. 당연히 계신 곳으로 갑니다. 저자님들은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그림을 책대필 이란 결과물, 현실로 구현하는 데 '현실감'이 없으신 경우가 많습니다. 머릿속으로 대하소설을 이미 쓰셨지만 그걸 관찰하고 글로 표현해내는 것은 전문적 인터뷰 역량이 필요한 것이고, 당연히 인터뷰 전문 작가가 취재를 해야만 제대로 된 책 내용을 뽑아낼 수 있습니다. 사람이 여섯번 움직인다는 건 경제용어로, 인건비가 든다는 뜻입니다. 글은 수작업이고 인건비이며 고로 절대로 저렴할 수가 없습니다. (저렴한 건 기계이고 디지털이죠) 책은 아날로그요, 사람도 아날로그입니다. 내가 창고에서 똥푸는 일을 시키더라도 사람을 부리면 한달치 월급을 줘야 하듯, 작가를 부리는데 인건비를 생각지 않는다면, 차라리 빅스비한테 사연을 들려준 다음, 돌아오는 답을 받아적거나 아니면 저 재능공유 사이트 무명의 대학생 알바에게 최저 임금을 주고 막된 원고를 받아서 쓰는 방법도 물론 있긴 합니다. 하지만 그러려고 책대필 하는 건 아니실거라 저희는 되도록이면 쓸 돈은 써야 한다 주의로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03vcm4eg/222694841794


Comments


bottom of page